KMA SPECIAL

데이터 기반 저성과자 관리 솔루션

 Diagnosis · Assessment · Upskilling · Coaching

조직 인력구조의 선순환은

체계적 저성과자 관리로부터 시작됩니다.

2015년, 정부가 노동시장 개편을 위해 저성과자 일반해고 가이드라인을 공표하고
이전보다 2배 이상의 부당해고 관련 소송이 매 년 사회적으로 이슈라이징 되고 있습니다.

조직은 Upskil · Outplacement의 목적성과 관계없이 저성과자 선정 및 구분, 접근 방식, 후속 관리에 대한 전략을 체계적으로 설계해야합니다. 순수 육성에서 통제 관점으로의 전환을 체계적 솔루션으로 지원합니다.

- 저성과자 솔루션 연구 담당, KMA 경영혁신그룹 김재환 팀장 -

저성과자 관련
사회적 통념

역량과 태도에 따른 구성원 구분

조직 구성원의 10%는 C-Player로 조직의 지속 성장을 저해하는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
중성과자로 다시 순환시키기 위한 관찰 및 밀착 관리가 필수적입니다.

태도, 역량 차트

조직 내 저성과자 발생의 주요 원인

성과평가자 및 인사관리자 대상 설문 결과 ‘개인 차원의 역량 결여’와 ‘개인 차원의 조직
부적응과 태도’가 저성과자 발생의 주된 원인으로 분석되었습니다.

주요원인 차트 출처 : 한국경영자총협회 설문조사

저성과자 관련 자체 연구 결과 그리고
진단 및 인터뷰를 통해 도출한 공통된 행동양식

저성과자 관련 자체 연구

연구기간 : 2017~2020표본 : 15개 기관(국내 민간 및 공공 조직 저성과자 및 성과평가자), 200명

  • 공통 역량 기반 진단 아이콘
    공통 역량 기반 진단

    자가 및 하향평가

  • 교육 대상자 인터뷰 아이콘
    교육 대상자 인터뷰

    In-Depth

  • 성과평가자 인터뷰 아이콘
    성과평가자 인터뷰

    In-Depth

아래방향화살표

정량적 검증역량진단 기반 통계분석

회귀분석 및 상관분석 결과 낮은 성과관리
역량과 유의한 역량 도출

  • Cluster
  •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oncentration
  • Competencies
  • 표현력 공감력 업무관계구축 갈등조정 몰입 변화관리
Communication
표현력 공감력
Collaboration
업무관계구축 갈등조정
Concentration
몰입 변화관리
Cluster Cluster

정성적 검증인터뷰 및 심리진단 기반 행동요인분석

저성과자에게 공통적으로 관찰된 심리/역량 차원의 행동양식 구조화

  • 역량 차원에서의 공통 행동양식
  • 자기 인식력 부족진단 데이터·메타인지·개발 계획 수립
  • 강점기반의 관계 구축 스킬 부족강점과 기질·정체성 확립·자긍심 확립
  • 신뢰기반의 팀워크 스킬 부족신뢰기반 관계·부정 감정 관리·자신감 확립
  • 협력적 커뮤니케이션 스킬 부족자기인식·행동-관계변화·소통 방식 변화
  • 발전적 성장 마인드셋 부족관계형성·저항감과 부정감·성장마인드셋
  • 심리 차원에서의 공통 행동양식
  • 조직과 제도에 대한 부정적 사고부정적 사고·조직 저항감·부정적 사고확산
  • 낮은 수용력과 의존성수치심-공허함·일관된 행동·감정조절 실패
  • 자기객관화의 부재업무주도성 부재·비일관적 태도·비논리적 경향
  • 협력적 관계를 거부하는 이기성자기중심성·냉소적 태도·포용력과 소유욕
  • 평가자·관리자에 대한 적대적 감정수치심-분노·정서 조절의실패
    피해의식과 불신

저성과자의 효과적인
변화관리를 지원하는
한국능률협회만의 차별화 전략

01

검증된 진단 및 평가도구 적용

효과적 자기인식 및 평가 결과의 타당성을 제고하는 검증된 도구 적용

아래 방향 화살표
02

안정된 수행 프로세스 구축

체계적 연구 결과 및 풍부한 유사용역 기반 효과성 높은 프로세스 구축

아래 방향 화살표
03

훈련된 전문인력 보유

저성과자 관리에 대한 이해도 높은 각 영역 별 훈련된 컨설턴트 보유

아래 방향 화살표
01검증된 진단 및 평가도구 적용
  • 역량진단 도구
  • 3C 공통역량 진단

    개인 차원의 변화 정도를 사전-사후 단계에서 실시하여 역량 변화 추이 관찰 및 분석

  • 버크만 진단

    직무 동기, 행동 스타일, 조직 내에서의 상호작용, 스트레스 반응 패턴 등을 포괄적으로 분석

  • 심리진단 도구
  • MMPI 다면적 인성검사

    선천적으로 보유한 개인의 기질적 성격구조와 정신 건강 상태를 분석 및 검증

  • TCI 기질 및 성격검사

    후천적으로 개발된 개인의 성격 (행동 패턴, 감정, 사고방식)에 대한 포괄적 분석 및 검증

  • 역량평가 과제
  • 역할극(RP) 역량평가

    내부 이해관계자와 업무와 관련된 면담, 
조언 및 피드백, 갈등해결 등의 일대일 소통과정에 대한 역할극 수행

  • 서류함(IB) 역량평가

    주어진 시간 내에 다양한 업무를 
해결하는 과제로 다각적 관점에서 
개인의 역량을 관찰

02안정된 수행 프로세스
  • 타당도 높은 검증된 자료 보유
  • 타당도 높은 검증된 자료 보유
    • 4년간의 연구 데이터로 구축한 3C 모델 기반 학습 방향성 설계
    • 대상자 평가 세부기준 및 평가 척도 보유
    • 저성과자 전용 역할연기(RP) · 서류함(IB) 기법 과제 보유
    • 체계적 결과 레포트 양식 보유
  • 심리진단 도구
  • 과업수행 결과물 종합관리
    • 모든 평가(과제 및 진단등)에 대한 정량 및 정성적 피드백 제공
    • 사전 진단, 인터뷰 분석, 차수별 코칭 일지 자료
    • 사전 사후 진단 결과 분석 자료
    • 코칭-진단-교육 결과 종합 분석 자료
대상자의 특성 및 과업 범위에 따른 학습 도구 및 여정 설계
  • 역량진단 2종
  • 대상자 인터뷰
  • 역량평가
    (RP/IB기법)
  • 심리코칭
  • 자기개발계획
  • 독서 과제
  • HR 교육
    (제도 설계 관련)
  • 심리진단 3종
  • 관리자 인터뷰
  • 역량코칭
  • Skill-Up 과정
  • 진단 결과 기반
    온라인 과정 맵핑
  • 관리자 교육
  • 관리자 코칭
03전문가 집단 보유
  • KMA 경영혁신그룹 김재환 팀장 솔루션 연구 및 과업책임자
    • HR Insight 기고 (저성과자 관리방안, 2024.01, 2022.11)
    • 월간 HRD 기고 (저성과자 관리방안, 2022.09)
    • 서강대학교 경영학 석사 (인사조직)
    수행전략 수립 및 레포트 작성
    • 학습 여정 설계 및 도구개발
    • 단계별 산출물 종합 관리
    • 결과 레포트 작성 및 납품
  • 희망인사노무연구소 윤희준 노무사 노무 Track 전담 및 리스크 관리
    • 前 한국공인노무사회 이사
    • 前 법무법인 세종 공인노무사
    • 연세대학교 법학 학사
    제도 및 관리 방안 가이드
    • HR 및 HRD 조직 대상 제도설계 및 관리방안 강의
    • 현업 관리자 대상 대응 방안 코칭 및 강의
  • KMA 교수실 김선영 전임교수 역량Track 전담
    • 前 현대케피코 연구기획그룹장
    • 前 아주대학교 평생교육원 코칭리더십 교수
    • 광운대학교 교육학 석사 (코칭심리)
    역량의 향상도, 변화관리의 지속을 지원
    • 역량 진단(버크만 · 3C)을통한 대상자 역량 수준 및 유형 분석
    • 역량평가를 통한 역량 향상도 분석
    • 역량코칭을 통한 실천의 지속 점검 및 지원
  • 소스토리 심리상담코칭 손정연 코치 심리Track 전담
    • 現 법무부 교정위원
    • 前 삼성전자 국내마케팅팀
    • 한국상담대학원 상담심리학 석사
    심리적 안전감, 올바른 자기인식 지원
    • 심리 진단(MMPI · TCI · 회복척도)을 통한 기질 및 성격적 특성 분석
    • 부정적 사고와 적대적 감정을 개선하고, 자기인식 상태 점검 및 지원

대상자의 변화(자기인식 수준, 역량향상도수준)를
이원적(심리측면-역량측면)으로 관찰 및 평가할 수 있는 방안

  • 참여도 평가 · 분석

    심리 및 역량 코칭 진행 시 참여자에게 관찰되는 행동을 기반으로 코치 주관 하 평가

  • 성실도 평가 · 분석

    Skill up 과정 진행 시 관찰되는 과정 몰입도 및 과제 작성 수준을 컨설턴트 주관 하 평가

  • 역량 향상도 평가 · 분석

    차수 별 역량평가 과제 산출물 분석을 통하여 단위 역량 별 향상도 제시 및 강약점 분석

저성과자
솔루션 프로젝트 레퍼런스